본문 바로가기

한국 역사10

고려문화재 고려문화재 고려는 태조 이래 불교를 국교로 숭상함으로써 정치 ·사회의 지도이념이 되었다. 불교의 경향을 보면 사찰에는 사 원 전(寺院田) 외에 왕실 귀족들의 희사로 토지와 노비가 증가되어 대장원(大莊園)을 소유하였고, 광종 때는 승과 제도(僧科制度)를 마련하여 승과에 합격하면 교 ·선종을 막론하고 대선(大選)이란 첫 단계의 법계(法階)를 주었으며, 또 왕사(王師) ·국사(國師) 제도로 승려들을 우대하였다. 문종 때 승려 개인에게도 별 사전(別賜田)을 지급하였으며, 사원에는 면세 ·면역의 특전까지 부여하는 등 보호책이 강구되었기 때문에 많은 승려들이 배출되었다. 불교의 성격은 호국적 ·현세 구 복적(現世求福的) ·귀족적 불교로 보호육성되었다. 따라서 역대 군왕들은 국가의 대업이나 안태(安泰)를 위하여 대사.. 2021. 5. 27.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 생애 정약용의 거중기 정약용은 1762(영조 38)년에 태어나 1836(헌종 2)년에 세상을 떠났다. 정약용의 본명은 약용이고, 자는 미용 또는 송보이며 (어려서의 자는 귀농), 호는 준암, 정약용(어려서의 호는 삼미자) 당호는 여유, 여유란 조심조심 산다는 뜻이며, 그의 자찬 묘비명에 나와 있듯이 겨우살이에 추위를 두려워하는 이웃을 측은히 생각한다는 뜻도 갖고 있다. 천주교 교명은 요한, 본관을 나주며 성을 압해 정 씨이다. 정약용의 생애는 네시기로 나누어 검토해 볼 수 있다. 제1기는 성장 수학기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영조 38년인 1762년에 경기도 광주군 초부면(2001년 현재의 경기도 양주군 와부면 능내리)에서 정재원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남인 가계에 속한 명관으.. 2021. 5. 27.
퇴계 이황 퇴계 이황의 출생 퇴계의 성은 이, 이름은 황(李滉 : 1501~1570),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도 옹(陶翁), 퇴도(退陶), 청량산인(淸凉山人) 등이며, 관향은 진보(眞寶)이다. 퇴계는 1501년(연산군 7년) 11월 25일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현 노송정 종택 태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진사 이식(李植)이고, 어머니는 의성 김 씨와 춘천 박 씨 두 분이다. 김 씨는 잠, 하, 신담 부인 등 2남 1녀를 두고 별세하였고, 재취로 들어온 박 씨가 서린(일찍 죽음), 의, 해, 증, 황 등 5형제를 낳았는데 퇴계는 그 막내이다. 퇴계의 부친은 서당을 지어 교육을 해 보려던 뜻을 펴지 못한 채, 퇴계가 태어난 지 7개월 만에 40세의 나이로 돌아가시고, 퇴계는 홀어머니 아래서.. 2021. 5. 27.
신사임당 신사임당이 존경받는 이유 어린 시절 읽었던 위인전에서의 신사임당의 모습은 높은 덕과 인격을 쌓은 어진 부인으로 남편에게는 항상 올바른 길을 가도록 내조하였으며, 또 훌륭한 어머니로서 7남매를 모두 훌륭하게 키웠고, 시부모와 친정어머니를 잘 모신 효녀로 우리나라 여성의 모범이 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한국의 여성상이라 함은 단연코 신사임당이라 말을 해도 어색하지 않다는 것이다. 하지만 신사임당이 더욱 높게 평가되고 있는 것은 그의 효성과 높은 덕, 그리고 인격에 어우러진 예술적․문학적 재질이 뛰어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여류 예술가라는 것이다. 그리고 신사임당은 완전한 예술인으로서의 생활 속에서 어머니와 아내의 역할을 성숙시켰으며 그런 면에서 볼 때 그녀는 조선왕조가 요구하는 유교적 여성상에 만족하지 않고 .. 2021. 5. 26.